돼지코 플러그 멀티 변환 어댑터 해외가전 사용을 위한 국내용 어댑터 들여다 보기. 추천 제품, eu플러그, eu돼지코, eu어댑터, 220v변환어댑터
나는 지금 무접지 (위 사진 아래쪽 작은 플러그어뎁터/ Spec상 6A 까지) 타입, 전원변환플러그를 많이 사용중이다.
크기가 작고 단단하며 품질이 좋아 어디에서든지 잘 사용하나 아무래도 사용하는 해외 직구 전자제품이 많아지다보니 접지형이 필요해 2종을 가져다 고찰해본다.
아래는 제가 추천하는 제품을 파는 곳 링크! (스마트 스토어 or 톡스토어)
EU US 유럽 미국 중국 변환 플러그 4.8mm 돼지코 젠더 110to220 어댑터
카카오톡 스토어 우아한남자들
store.kakao.com
대부분 직구나 해외에서 가져온 전자제품은 고급기본형(위 사진 아래 상품)으로 문제 없이 만족할 수 있으나 좀 더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전자제품 중에는 접지가 필요한 것도 있다. 물론 좀 더 들어가 보면 실제 전력은 1kW가 대부분 넘지 않아 무접지 타입으로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좀 더 안전하게 접지 타입을 사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예. 샤오미 공기청정기, 샤오미 멀티탭, 등등)
일반적인 전기 접지 부위는 아래 사진 참조요.
오늘 본 제품은 아래와 같다.
(아래 사진속 제품은 구형으로 비슷해보여도 좀 크다)
기존 뜯기도 어려웠던 전원변환플러그완 달리 부피가 있고 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해서 그런지 나사 3개가 잡고 있더군요.
분해는 어렵지 않습니다.
나사 2개를 길고 1개는 짧고
살짝 보이는 사진으로만으로도 벌써 내부가 기존 제품보다는 꽤 복잡함을 알 수 있다.
최종 플러그 단자는 당연히 한국 표준에 맞아야하니 두께가 4.8mm(4.8t)이다.
위/아래 분리하면 아래와 같다.
위 사진속 왼쪽이 접지부이고 오른쪽이 전원부이다.
전원부쪽의 경우 모양을 보면
위쪽이 110V 전원연결부
가운데가 220V EU 연결부
아래가 220V 중국 연결부이다.
꽤 신경써서 만든 제품임을 알 수 있다.
접지부와 전원부 황동 금속 모양을 보면 1개의 금형으로 찍어내 각각 접은 형태로서 생산성이 높은 설계이다. 다만 탄성에 의해 코드를 잡아주는 구조로서 신뢰성이 얼마나 될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접지부 또한 예술이다. ㅋ
전 세계 각 나라별 표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접지를 대부분 커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것 설계한사람 인정해준다. ㅋㅋ
뜯어놓은 겉 커버에는 재원이 기재되어 있네요!
이제 전원부를 보면 여기도 꽤 복잡해 보인다.
보이기엔 복잡해도 결국 이것도 한개의 금형으로 만들어 접는 구조이다.
그런데 왠 스프링?
아래 사진을보면 EU플러그 들어가는 부위가 뚜껑이 있다.
플러그를 끼울 때 아래로 내려가면서 열리는 구조이고 플러그를 빼면 다시 위로 올라가 닫히는 구조이다. 일종의 대문역할이다. (스프링 역할)
그런데 굳이 이런 뚜껑이 왜 필요할까요?
그럼 다른 구멍에는 왜 뚜껑이 없을까요?
혹 위에 언급한 이유를 제외하고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맞습니다. 플러그의 사용성을 볼때 멀티탭이나 콘센트에 꽂혀 있게 되는데 이 때 의외로 먼지가 많이 쌓이게 되니 이런 대문 역할을 하는 것이 한개라도 더 있으면 좀 더 안정적이다. 콘센트나 플러그에 쌓이게 되는 먼지는 통전성을 끼는 경우가 많아 쇼트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의미로서 되도록이면 그런 부분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겠다.
이제는 전원부 포트를 한번 자세히 보죠.
모듈 구조로서 쏙 빠진다.
기본 황동 금속 금형에서 플러그 단자를 단단~하게 붙인 구조이다. 왠만큼 힘을 줘도 끄떡도 하지 않더군요. 이건 기존 무접점 고급 변환 플러그 젠더와 같이 튼튼히 잘 되어 있네요
위에서 다시 봐도 여전이 모양은 복잡해 보입니다.
우리야 그냥 쉽게 사용하면 되지만~
전원부 모양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아래 다양한 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젠 다시 조립을 해야죠
그런데 쉽게 조립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잘 안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제품 대부분은 힘으로 조립되진 않습니다. 잘 안된다고 힘을 쓰거나 충격을 가하면 부러지거나 부숴질 뿐이죠. (물론 일부 후크 구조는 그럴 수 있음)
뭔가 문제가 있었던 것이겠죠?
다시 열어보니 접지 부품이 끼어 조립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접지를 위 사진 오른쪽에 끼우면 쏙~ 들어가는데 그렇게 조립하면 잘안되더라구요. 왼쪽에 잘 거치를 하고 끼우면 잘들어갑니다.
조립완료!!
내부는 이렇게 보았고요. 충분히 플러그 젠더로를 쓸만한 제품임을 알수 있습니다. 그럼 기존에 제가 사용하던 접지형 플러그 젠더와 한번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그동안 많이 보셨을 제품이 바로 위 사진속 왼쪽 제품일듯 합니다. 저걸 처음 사용할 때부터 계속 머리속에 든 생각은 바로
"이거 왜이리 커?"
사진으로 비교하니 차이가 많이 납니다.
아래 US플러그 타입 샤오미 스피커 플러그에 꼽아봤습니다.
멀티아답타에 플러그를 꼽아봤습니다.
차이가 많이납니다.
기존에 많이 서왔던 저 멀티플러그는 이제 과거로 보내줘야 할듯 합니다.
그런데 사진으로 안나타는 것 중 하나는 안정감입니다. 위 사진으로 보면 크기 차이만 보이나 US플러그 잡아주는 느낌도 최근 것이 꽤 안정적입니다. 접지 여부를 떠나 US 미국 플러그 제품의 경우 오히려 이 타입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안정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EU/중국 플러그 뿐안 아니라 US플러그 연결상태 모두가 매우~ 안정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접지형에도 모양은 거의 비슷한데 크기가 달라 사용성에 차이가 꽤 많이 나더군요. 실제로 이왕 구입해서 사려면 가격차이가 크지 않으니 멀티탭에도 충분히 사용 가능한 플러그 어댑터를 구입하는 것이 좀 더 사용성에 유리하겠죠?
한번 자세히 볼까요?
보통 멀티텝을 많이들 사용하실텐데 사용할 때 옆 콘센트에 구형은 방해를 줍니다.
말이 방해지 즉 옆 콘센트를 사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아래 사진을 한번 보죠
왼쪽이 구형 / 오른쪽이 신형입니다.
그나마 위에 멀티텝은 정방향 제품이라 조금 영향이 덜한편입니다.
같이 꽂아 놓은 사진입니다. 크기 차이가 많이 나며 구형과 달리 신형은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됩니다.
진짜 문제는 많이들 사용하는 사선방향 / 대각선방향 멀티텝의 경우 구형은 옆 콘센트를 아예 사용할 수가 없어 신형을 써야합니다.
차이가 보이시나요? 아래 3개의 비교 사진을 통해 전기적 특성이 비슷하다 하더라도 왜 신형을 구매해야하는지 너무나도 명확합니다.
뜯어보면 내부적으로(전기적으로) 거의 같아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지만 사용성 측면에서 꽤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다같이 모양이 비슷한 접지형 플러그어뎁터라도 신형을 써야하는 이유입니다.
"접지형 신형 플러그는 아래 링크에서 구입했습니다. "
결론은..
1. 해외 직구 전자제품 eu/us/중국 플러그는 우리나라에서 고급기본형 가능
2. 중/고전력 전자제품은 접지형 플러그를 사용 (1kW이상)
3. US플러그/ 미국플러그는 접지형을 권고한다.
(주의. 당연히 정격은 220V를 지원하는 제품에 사용해야함)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의견은 "댓글" 남겨주십시요
---------------------------------------
그럼 오늘도 좋은하루들~요.
끝.
EU US 유럽 미국 중국 변환 플러그 4.8mm 돼지코 젠더 110to220 어댑터
카카오톡 스토어 우아한남자들
store.kakao.com
좋은 하루 되세요 ^^
[알리직구비추] Baseus 제품도 더 이상 믿을 수 없는 이유/ 스펙 Error, 저품질 (0) | 2022.06.26 |
---|---|
[LG에어콘 노란불] LG 천정형 에어콘 노란불 증상 설명 및 해결 방법 (0) | 2022.05.24 |
댓글 영역